크래프톤 2

PintOS Project 2 : system call (1)

user program은 컴퓨터 전체를 소유한다는 환상 하에 쓰여진다. 예를 들어서 메모리, cpu 등 자원들을 사용하는데 우리는 이것을 추상화 하여 각 프로세스가 진짜로 자원을 다 사용하고 있다고 착각하게 만든다. 또는 이 환상을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관리를 해야 한다. 따라서 프로세스가 하면 안되는 작업을 하기 위해 시스템 콜을 호출하게 된다. 시스템 콜이란 유저프로그램이 못하는 작업을 커널에게 부탁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. 따라서 project 2 의 목표는 OS와 user program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콜 함수들을 구현하는 것이다.    위의 그림을 간단히 설명해보자면,유저프로그램이 exec() 함수를 실행한다.exec()는 유저프로그램이 실행하지 못하는 작업이므로 커널에..

PintOS 2024.09.18

코치님 커피챗 후기

나의 질문 :-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? 코치님 답변 :- 하고 싶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. 하지만 나의 실력을 쌓아 가능성을 높이자. 처음부터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이기 때문에, 단계적으로 커리어를 성장시키는 것이 좋은 방법일 수 있다. 백엔드 엔지니어로 시작해서 경력을 쌓고 사내 데이터를 다루는 팀이 있으면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.(여기서 데이터 팀이 있는 회사를 첫 직장으로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다.) 일단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나의 실력을 쌓아 도전하자 !     나의 질문 :- 정글 주차 과정을 모두 완료하지 못해 계속 딜레이 되는 상황인데 어떻게 해야 할까? 코치님 답변 :- 현재를 완료하지 못한 상황에서 다음 주차를..

JUNGLE 2024.08.09